[권은정의인터뷰무제한] 못다한 시인과 사랑 짚풀로 엮고 엮었지

2006. 03. 27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fiogf49gjkf0d
[권은정의인터뷰무제한] 못다한 시인과 사랑 짚풀로 엮고 엮었지
공부에 빠진 철학도 사랑에 잡혀 중도하차
남편 “기운 몰아달라” 애원에 고구마 캐는 아낙네로
서른넷, 아이 셋 홀로 키운 고생 말로 어찌…
‘신동엽 문학관’에 모든 것 기증 대중 품으로
“이젠 온전한 내 분야 인정받고 싶어요”
한겨레

권은정의 인터뷰 무제한/‘시인 신동엽’ 펴낸 부인 인병선씨

그의 음성은 떨렸다. 남편의 책을 내고 출판기념회를 하는 자리에서 부인이 인사말을 하는 중이었다. 타계한 지 36년이 지난 남편은 대시인 신동엽, 그리고 그 자리에 선 일흔을 넘긴 부인 인병선. 그 세월을 넘겼는데도 아직 저런 떨림이 남아 있구나 싶어, 나는 속으로 생각의 가닥을 추스르느라 애썼다.

<시인 신동엽>(현암사) 책 속 사진에서 젊은 시인과 함께 했던 젊은 친우들은 이제 백발이 성성한 노인이 되어 자리를 함께 하고 있었다. 그동안 출판된 시인의 책이 어디 한두권일까만 이번 책은 유난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시인의 육필원고, 사진, 유품을 실어놓았기 때문이다. 학교성적표, 기타 치는 시인의 사진, 장편시 <금강> 초고…. 여러 소중한 기억을 담고 있지만 사람들은 단연 시인의 연애편지에 눈길을 둔다. ‘시인의 사랑’보다 더 아름다운 것이 이 세상에 있으랴? 때로는 원고지에, 때로는 금전출납부 용지를 편지지 삼아 적어 내려간 사랑의 말들. 석림과 추경이라는 이름으로 서로를 애타게 부르며 사랑을 키워간 징표가 책 안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활짝 웃으며 찍은 부부의 사진은 사랑의 편지를 더욱 실감나게 만들고 있었다.

서울대 철학과 홍일점 입학

“편지도 역시 그의 시니까요. 다른 시에서는 보지 못한, 육감적이기도 하고 절절한 분위기가 있어요.”


“/사랑은 너무 컸어도 언표는 너무 작아서/” 다르게 마음을 연락하고 싶어했던 시인 신동엽. 그런 연애편지를 받았다면 잠도 안 왔을 것 같다. 청춘이었던 그때 둘은 매일 편지를 주고받지 않았을까?

“아니, 난 편지 별로 안 썼어요. 그이가 열 번 쓰면 난 한번 쓸까말까. 그때 난 학문에 대한 포부에 불타 있었거든요.”

하지만 실상 그는 공부를 하고 싶은 만큼 하지 못했다. 시인을 만났을 때가 여고 졸업할 즈음. 서울대학교 철학과에 홍일점으로 입학했지만, 사랑에 빠진 시인은 사랑스런 연인의 시선이 자신만을 향하기를 원했다.

“그때 이미 전 잡혔었지요. 그는 늘 노장사상에 대해 얘기했어요. 동양철학을 주장하면서 서양철학의 문제점을 지적했죠. 다섯 살 위인 그의 말에 난 세뇌당했던 것 같아요. 내가 하는 학문에 회의가 왔어요.”

그가 운영하고 있는 짚풀생활사박물관에 가보면 그가 얼마나 학구적인 사람인지 알 수 있다. 그는 자신이 연구한 짚풀문화를 논문과 책으로 온전히 정리해 놓았다. 그가 써온 글과 책은 그 양과 깊이가 만만치 않다.

“솔직히 그 사람이 원망스러울 때가 많았어요. 내 공부를 못하게 했으니….”

경제학자 인정식 교수의 외동딸인 그는 어려서부터 공부라면 문제가 없었다. 제주 피난 어린시절에도 신학대학 청강을 할 정도였다. 당시 세상을 풍미했던 실존철학의 바다에 한껏 몸을 던지고 싶었던 이 철학도는 결혼으로 공부를 중도하차했다.

“공부에 대한 미련이 너무 강했어요. 문리대 앞을 지날 때마다 가슴이 얼마나 쿵쾅거리는지…. ”

여대생이던 서울아가씨가 시댁이 있던 부여로 내려가 고구마를 캐는 시골아낙이 되었다. 남달리 뛰어난 아내의 학문과 문학적 재능에 대한 남편의 견제는 어떻게 되었을까?

“내가 마음대로 책도 못 봤어요. 책을 보다가도 남편이 들어오는 소리가 나면 얼른 다락에다 던져버렸다니까요. 책보지 말라는 말은 안했지만 이삼일씩 말도 안하고 그랬지요. 내가 뭘 하는 것을 싫어했어요. 한 집안에서 둘이나 하면 기가 빠진다, 그러니 자기에게 그 기운을 몰아 달라고 했어요. 내가 이런 말 하면 세상 사람들이 안 믿을 거예요…. 요즘 어디 통할 말이겠어요? 그때 우리 세대만 해도 구식 충청도 양반의 사고가 통했지요.”

공부 못하게 한 남편 원망도

그는 하는 수없이 아내로서의 삶에 순응했다. 전력을 다해 살림을 했다. 회벽을 사서 집칠을 하고 아이들 옷을 만들어 입히고 청소는 하루에 2번씩, 집안이 반짝 반짝했다.

신동엽 시인과 사별했을 때 그는 서른 넷. 어린 아이 셋이 그의 손을 잡고 있었다. 이제는 모두 장성한 삼남매다. “내 고생이야 말로 다 못하지”하는 짧은 말로 긴 고생을 일축해 버린다.

“그이는 예감이 뛰어난 사람이었어요. 아마 일찍 죽을 줄 알고 나같이 강한 여자를 찾았던 것 같아요. 당신은 강한 사람이니 애들과 잘살 것이라고…. 우리 부부간 사랑이 점점 깊어지던 즈음이었는데….”

그의 눈에 이슬이 맺힌다. 남편이 죽고 나니 이 사회는 여자에게 책임을 많이 돌리더라고 한다. ‘남편 잡아먹은 팔자 센 여편네’라는 말이 함부로 그의 등 뒤에서, 혹은 면전에서 오고 갔을 것이다. 혼자된 이후 그는 세상에 대해 늘 거리를 두고 자기방어적인 사고를 하면서 살 수밖에 없었노라고, 요즘 비로소 세상과 마음을 열고 싶은 생각이 든다고 나지막이 말한다.

남편에 대한 살뜰한 정은 단순한 사부곡에 그치지 않는다. 신동엽의 시에 대한 평가는 그의 몫을 넘어선 것이었지만 시인을 기리는 크고 작은 일에 그는 늘 온힘을 다했다. 신동엽창작상도, 시인의 생가 복원사업도 그랬다. 생가를 부여군에 기증했고 곧 건립될 신동엽 문학관에 모든 유물을 기증할 것이다. 덕분에 우리는 얼마지 않아 푸른 잉크에 녹아든 시인의 영혼을 정갈한 유리장 안에서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유물을 기증하는 것은 곧 공공화 시키는 것이지요. 신 시인에 대한 공적이며 대중적인 사랑과 관심을 바라면서 하는 일입니다.”

남편의 유물을 간직하고 보관해온 그의 솜씨는 전문가를 능가한다. 꼼꼼하고 철저하다. 부여군에 자료를 넘겨주는 작업도 공이 드는 일이다. “그 전에 초고전집을 내고 싶어요. 음악극도 정리해서 넘기는 게 금년 예정작업인데…. 할 일이 아직 많아요.”

최근 책을 펴내면서 너무 힘들어 신동엽과 이혼하고 싶다고 푸념삼아 한 말이 있다. 하지만 가슴 깊이 오랫동안 안고 있던 남편을 떠나보내는 것 같아 서운한 마음을 누가 알 것인가. 짚풀박물관을 돌아보며 문득 남편이 그의 곁에 있다면 이일을 해냈을지 궁금해졌다.

“글쎄요? 짚풀 박물관은 없었겠지? 아니면 누구 다른 사람이 해냈을지도?”

결국 그가 시인 남편의 그늘을 벗어났다는 게 옳은 말 아닐까? 그 자신 시인으로서의 이력을 쌓았고 ‘짚풀문화’를 발견해냈던 것이다. 지금 박물관을 운영하기 전까지 어언 20여년의 세월이 지층을 이루었다. ‘그까짓 지푸라기’하며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던 짚과 풀을 그는 하나의 분야로 일궈놓았다. 이 부분에 대한 공로로 지난해 대한민국 문화유산 상을 받았다.

“이 일도 내가 하는 데까지 하고, 이젠 개인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챙겨야 한다는 생각이 들도록 해야겠지요. 옹기, 민화, 토기 등등 그런 박물관에 대한 우리의 관심은 꼭 필요한 것이지요. 우리 농경문화를 나타내는 짚풀 문화 또한 그렇고. 학문적으로 정립하고 사회적 기능을 확대하는 노력도 계속 필요하지요.”

짚풀 문화에 대한 발언으로 돌아가자 그는 다른 어조가 된다. 자신만의 금맥을 알고 있는 듯한 충만감이 느껴진다. 그는 짚풀공예의 현대적 의미를 짚어냈다.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작업치료 효과와 노인회관의 무료한 노인분들에게 보람을 줄 공예솜씨, 또 남쪽사람들보다 솜씨가 두세 배 낫다는 탈북 새터민 사람들과 함께 작업할 계획이 우선 있다.

자신만의 금맥 ‘짚풀문화’

“그래도 제가 가장 집착하는 쪽은 학문적 결과이지요. 제작법을 영상기록으로 남겨둬야 하는데 지금 하다가 중단한 상태예요. 노인들이 돌아가시기 전에 빨리 해야 하는데…. 나는 몇 년 후에 어떻게 될 것인가 고민하지 않아요. 금년에 뭘 할 것인가 생각하면 전부 즐거워요.”

▲ 권은정/전문 인터뷰어
그가 짚풀문화 연구에 쏟는 열정을 마뜩치 않아 하는 사람들도 있다. 대시인의 아내자리가 얼마나 영광스러운데 까짓 짚풀문화에 견줄 거냐며 대놓고 비아냥하는 이들도 있다.

“아무리 기를 써도 신동엽 마누라라는 그늘을 벗어날 수야 있겠어요. 그래도 난 완전한 나의 분야를 인정받고 싶어요. 진짜로. 그가 아무리 위대해도 나도 내 분야에서 이만큼 노력했잖아요? 하하하…”

그는 당당히 자신을 자랑한다. 그 모습이 또한 잘 어울린다. “참새스런 깡똥한 날매/장미처럼 매선 향기/” 언젠가 시인은 아내를 이렇게 묘사한 적이 있다. 과연 그 예언은 어긋나지 않았다. 그의 웃음소리가 크고 넓게 퍼져나가는 듯싶다. 싱그런 봄을 맞은 대기 사이로.